속쓰리고 더부룩해요, 위산과다? 위산저하? 위산저하증의 모든 것
많은 사람들이 속쓰림이나 소화불량을 겪을 때 ‘위산이 너무 많아서 그런가?’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의외로 위산이 부족할 때도 비슷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위산저하증의 증상과 원인, 어떻게 해결하면 좋을지 살펴볼까요?
위산저하증이란?
위산저하증은 위산이 충분히 분비되지 않아 위의 소화 능력이 저하된 상태를 말합니다. 위산은 단백질을 분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음식의 세균과 병원체를 제거하여 감염을 예방하는 역할도 합니다. 위산이 충분히 분비되지 않으면 소화불량, 복부 팽만감, 트림, 가스, 속쓰림과 같은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위산이 세균과 같은 병원체를 억제하지 못하면, 장내 세균 과증식(SIBO), 장누수 증후군, 위염이나 장염 같은 감염 위험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한 연구에 따르면, 위산이 적은 환경에서는 장내에서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와 같은 유해균이 증식할 수 있고, 이는 위염과 위암의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1]
위산과다 vs 위산저하
위산 과다
위산이 과다할 경우, 위산이 식도 쪽으로 역류하면서 속쓰림과 타는 듯한 느낌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위산 역류 현상은 자주 발생하면 식도염이나 위궤양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성인의 약 10-20%가 주기적인 위산 역류를 경험하며, 이로 인해 여러 가지 위장 문제를 겪을 수 있습니다.[2]
위산 저하
반대로, 위산이 부족할 때는 소화 효소가 충분히 활성화되지 않아 음식이 제대로 분해되지 않습니다. 이로 인해 소화불량, 트림, 복부 팽만감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위산 저하는 나이가 들수록 발병 위험도가 증가합니다.
위산저하증 원인
스트레스
만성 스트레스는 신경계와 호르몬 균형을 무너뜨려 위산 분비를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스트레스는 부신에서 코티솔을 분비하게 하는데, 이는 소화 기능을 억제하고 위산 분비를 저하시키기 때문입니다. 또한, 스트레스로 인해 소화불량과 속쓰림 같은 증상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약물 복용
위염약 (PPI; 위산억제제), 소화제, 진통제, 항생제와 같은 약물들도 위산 분비를 감소시키는 데 영향을 줍니다. 특히, 소화가 안 될 때 흔히 먹는 위산 억제제는 단기적으로 속쓰림과 같은 증상을 완화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위산저하를 일으킵니다[3].
식습관
불규칙한 식사 시간, 과식, 가공식품 섭취와 같은 식습관도 위산 저하에 영향을 미칩니다. 고당, 고지방 음식은 소화 과정에서 위장에 부담을 주며, 인스턴트 식품에 포함된 인공 성분은 소화 기능을 약화시킬 수 있습니다. 특히 가공식품의 과도한 섭취는 위장 내 미생물 균형을 무너뜨리고 소화에 부담을 주며, 장기적으로 위산 분비를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만성위축성위염, 장상피화생, 노화, 영양불균형 등도 위산저하를 일으킵니다.
약 대신 활용 가능한 위산 보충제
1.비테인 HCl
비테인 HCl은 위산을 보충해 소화를 촉진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보충제로, 단백질 분해를 돕는 펩타인, 펩신과 함께 복용할 때 더욱 효과적입니다. 비테인은 식사와 함께 복용 시 효과가 좋으며, 의사의 지침에 따라 적정량을 복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생식초 (자연 발효 식초)
생식초는 화학적으로 발효시킨 것이 아닌, 과일이나 곡물을 자연 발효 방식으로 만든 식초입니다. 생식초에는 장내미생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유익균과 효소가 포함되어 있어 위산 보충과 장 건강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4]
섭취 방법과 주의 사항
1.농도: 소주잔 정도의 분량에 식초:물 비율을 1:3에서 1:5 정도로 희석하여 마시는 것이 좋습니다.
2.섭취 시기: 소화 효소나 식초 보충제는 식사 중간이나 식후에 섭취하면 좋습니다.
3.속이 쓰리다면 멈추기: 산성도가 높아지면 속쓰림을 느낄 수 있으므로, 증상이 나타날 경우 무리하게 시도하지 말고 우선 멈춘 후 의사와 상담하세요.
출처
[1] Parsons BN, Ijaz UZ, D’Amore R, et al. Comparison of the human gastric microbiota in hypochlorhydric states arising as a result of Helicobacter pylori-induced atrophic gastritis, autoimmune atrophic gastritis and proton pump inhibitor use. PLoS Pathog. 2017;13(11).
[2] Dent J, El-Serag HB, Wallander M, Johansson S. Epidemiology of gastro-oesophageal reflux disease: a systematic review. Gut. 2005;54(5):710-717.
[3] Kamboj AK, Patel DA, Yadlapati R. Long-term proton pump inhibitor use: review of indications and special considerations. Clin Gastroenterol Hepatol. 2024.
[4] Ousaaid D, Bakour M, Laaroussi H, El Ghouizi A, Lyoussi B, El Arabi I. Fruit vinegar as a promising source of natural anti-inflammatory agents: an up-to-date review. DARU J Pharm Sci. 2024;32(1):307-317.